로고

<스폐셜> 세계는 치열한 희토류 전쟁 중(하편)

“국제정세 개선, 낙후시설 현대화” ‘관건’

소정현기자 | 기사입력 2017/05/17 [16:29]

<스폐셜> 세계는 치열한 희토류 전쟁 중(하편)

“국제정세 개선, 낙후시설 현대화” ‘관건’

소정현기자 | 입력 : 2017/05/17 [16:29]

 

첨단산업에 종사하는 경제인들은 최근래에 들어 세계의 희귀금속인 희토류 또한 자원 전쟁화 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무분별한 환경파괴 중국 희토류 생산제한 가격급등

중일 영유권분쟁 당시 자원무기화 가능성이 현실화

 

남한의 투자, 북한의 노후설비 기술향상 대량생산도

북한 호전적 정책, 상생의 기회 놓쳐 뼈아프게 통감

 

 

▲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를 둘러싸고 수출국 중국과 수입국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국가들 간의 갈등이 그것이다    



중국의 희토류 생산 제한 가격급등

 

첨단산업에 종사하는 경제인들은 최근래에 들어 세계의 희귀금속인 희토류 또한 자원 전쟁화 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지난 2009년이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를 둘러싸고 수출국 중국과 수입국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국가들 간의 갈등이 그것이다.

 

중국의 희토류 최대 소비국인 일본은 결국 분쟁 17일 만에 나포한 중국 선장을 석방했다자원이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중국의 희토류 생산 제한 조치는 중국이 자연환경 파괴와 희토류의 무분별한 채굴을 막자는 취지에서 시도한 것이었다
. 산업계에서 주로 회자되던 희토류가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지난 20109월 동중국해 일부 섬들을 둘러싸고 중국과 일본이 벌인 영유권 분쟁 때였다.

 

당시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인근 해역에서 중국 어선과 일본 순시선이 충돌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당시 양국 간 영유권 분쟁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에 중국은 희토류 카드를 꺼냈다.

 

중국의 희토류 최대 소비국인 일본은 결국 분쟁 17일 만에 나포한 중국 선장을 석방했다. 세계는 이 사건으로 위기의식을 느끼기 시작했다. 자원이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희토류 가격 상승으로 북한도 광산 재개발을 준비 중이.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10년 한국의 희토류 수입량은 3287, 5900만 달러였다. 국내 희토류 수요는 광학렌즈와 유리 연마제로 사용되는 경희토류가 대부분이고, 영구자석용으로 사용되는 중희토류는 반제품·완제품 형태로 수입하고 있어 일본에 비해 중국 의존성이 크지 않다.

 

2011년 희토류의 수입단가가 전년보다 200%이상 대폭 올랐다. 주 수입원인 중국산 희토류의 가격이 단기간에 급상승한 영향이다.

 

고도의 기술력, 북한의 노후설비 관건

 

▲ 희토류 광산이 대부분 생산 불능 상태에 처한 것은 인프라 구축이 미비해서다. 가장 큰 원인은 전력부족이고, 장비 노후화와 소모품과 정제약품 조달의 어려움 등이 원인이다  

 

북한은 희토류 대상 탐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아 북한 지역 전체로 한 매장량 자료는 없다. 희토류 광산이 대부분 생산 불능 상태에 처한 것은 인프라 구축이 미비해서다. 가장 큰 원인은 전력부족이고, 장비 노후화와 소모품과 정제약품 조달의 어려움 등이 원인이다.

 

장기적 전략적 관점에서 북한의 희토류 개발에 우리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무시하기 어렵다. 남한의 투자를 바탕으로 북한의 노후한 희토류 생산설비 및 기술을 향상시킨다면 금속의 순도를 99% 이상으로 높일 수 있고 획기적인 대량생산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국외에서 이보다 더 가까운 수입처도 없으므로 운송비 부담까지 최저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기대되는 것은 희토류의 선광 작업부터 분리, 정제, 가공, 판매까지의 전 과정이 일시에 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중국의 희토류 횡포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5000억 원이 넘는 개발사업 비용, 최소 5년 이상 걸리는 채굴 준비 및 제련소 건설 기간 등 재정적·시간적 부담으로부터도 자유로워진다.

 

주지하다시피 희토류는 채굴, 분리, 정련, 합금화 과정을 거쳐 상품화가 이뤄지는데 이 과정에서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가공 과정에서 엄청난 공해물질이 발생해 후진국형 산업으로도 불린다.

 

농황산분해법을 이용하면 1톤의 희토류 정제 후 약 75천 리터의 산성폐수와 방사성 폐기물을 포함해 1천만 리터 가량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가공비용과 환경오염 문제 등을 이유로 희토류 생산에 적극적이지 않은 편이다.

 

희토류 전쟁, 한국의 우위 선점전략

 

20165월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북한 지하자원의 경제가치는 10조 달러(11700조 원)로 남한 지하자원의 20배에 이른다고 밝힌 바 있다.

 

한반도 광물자원개발 융합연구단(DMR)은 우선 개발해야 할 지역으로 평안북도 정주-운산 일대를 꼽았다. 이 지역은 금은 광상(鑛床·유용한 광물이 땅속에 많이 묻혀 있는 부분)과 희토류 광상이 있다. 활용가치가 높은 희토류는 20t가량 매장돼 있는 것으로 연구단은 분석했다.

 

연구단은 북한 자원 개발 문제점도 분석했다. 국가 재정이 빈곤하고 광물을 채굴할 인프라가 불충분해 천문학적 광물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광산 가동률은 대부분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그나마 채굴한 자원도 고품질 소재로 가공하지 못하고 원광 형태로 중국 등에 헐값에 팔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희토류는 광물 내 함량이 낮고 정제가 까다로워 품위(grade)가 매우 중요하다. 품위란 광물에서 유용 성분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 광석의 가치를 따지는 주요 기준 가운데 하나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광산, 지질 자문업체 HDR 살바(Salva)탐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 정주의 희토류 품위는 평균 3.56%이다.

 

평균 3.56% 품위는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마운트 웰드(Mt. Weld) 광산(평균 품위 8%)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꽤 높은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품위가 2% 이하면 경제성이 떨어져 채광하지 않는다. 참고로 세계 6위 매장량을 자랑하는 미국의 베어 랏지(Bear Lodge) 광산의 평균 품위가 3.45%.

 

▲ 20116월 말 한국을 흥분시켰던 충주, 홍천의 희토류 15만 톤 발견도 결국 0.6% 정도의 낮은 품위로 인해 더 이상 진척시키지 못했다  


 

한국에도 약 322천 톤의 모나자이트가 있지만 대부분 전희토산화물(Total Rare Earth Oxide:TREO) 함량, 즉 품위(grade)0.1% 이하로 개발이 불가능하다. 20116월 말 한국을 흥분시켰던 충주, 홍천의 희토류 15만 톤 발견도 결국 0.6% 정도의 낮은 품위로 인해 더 이상 진척시키지 못했다.

 

미국 중국 러시아 지대한 관심

 

북한 내 희토류자원이 적지 않다는 사실은 미래 남북통일과 한반도 평화에서 핵심 사안으로 자리 잡을 것이 명백하다.는 전문가 분석은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201317, 빌 리처드슨 전 뉴멕시코 주지사와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 일행이 34일간 북한을 방문했다. 표면적인 이유는 북한에 억류 중인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 석방 교섭이라는 인도주의에 초점을 맞췄다.

 

그런데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이 인터넷 불모지인 북한을 방문한 것을 두고는 다른 분석이 제기됐다. 속셈은 북한과 자원개발 문제를 협의하려는 것이었으며, 그 대상은 북한의 희토류라는 것이었다. 혹자는 슈미트 회장이 미국 대기업을 대신해 방문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20141029일자 러시아의 소리방송은 러시아가 북한철도 현대화 사업에 나선 대가로 북한 희토류 금속을 채굴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북한 철도 현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될 러시아 산학협동체인 모스토빅이 그 대가로 천연자원인 희토류 금속을 비롯해, 티타늄, 탄탈(희유금속원소), , 석탄 등을 채굴할 예정이라 보도했다.

 

이 방송에서 알렉산드르 갈루쉬카 러시아 극동개발부 장관은 북한의 경우 희토류 금속이 이웃국가인 중국보다 7배가량 많다이는 6조억원에 달하는 수치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