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홍천 고지도를 통해 알아 본 용수사(龍水寺)

김동성 기자 | 기사입력 2022/08/03 [22:51]

홍천 고지도를 통해 알아 본 용수사(龍水寺)

김동성 기자 | 입력 : 2022/08/03 [22:51]

 

 

한국지명총람에는 용수사와 학서루를 고려 희종 때 시어사(侍御使) 용득의가 세웠다고 서술되어 있고 세보(世譜.1799)의 현판기(懸板記)에는 용씨가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 홍천의 세거씨족인 용씨와의 관계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용수사의 규모는 여지도서(與地圖書 1757~1765)에서 유일하게 22칸으로 기록한 것을 확인했고 조선후기인 18세기에 만들어진 홍천현읍지에 용수사가 거론되고 이후 홍천군읍지(1899)에 금폐(今廢)로 기록되는 등 다른 문헌에서는 용수사, 용수암, 수용사로 불리고 있다.

 

[홍천군읍지(광무3년, 1899, 고종 36년)]

 

홍천군읍지(광무3년, 1899, 고종 36년)에 용수사 관련 기록이 다음과 같이 남아 있다. 용수사는 군에서 30리에 있는 금학산에 있는데 지금은 폐찰 되었다.(龍水寺 在郡西三十里金鶴山今廢)

 

 

[1861년 대동여지도]

 

1861년 고산자 김정호가 편찬 간행한 분첩절첩식 전국 지동첩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용수사를 수용사로 표기하고 있다.

 

 

[관동지-국립중앙도서관]

 

19세기 초반 강원도에서 편찬된 地誌로, 크게 보면 강원감영과 각 군현의 地誌, 그리고 莊陵事蹟, 總錄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동지(關東誌)에는 용수사로 표기되어 있다.

 

 

[광여도의 홍천현 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세기 전반에 세계지도 및 전국 각 고을의 지도를 수록한 지도책인 광여도(廣輿圖)의 홍천현 지도에는 용수사를 용수암으로 표기하고 있다.

 

 

[여지도서-국사편찬위원회]

 

1757년(영조 33) ~ 1765년 전국 각 군현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엮은 전국 지리지인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용수사로 표기되어 있다.

 

 

[해동여지도-국립중앙도서관]

 

조선후기 전국 336개의 군현지도를 수록한 지도집인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에는 용수사 수용사로 표기하고 있다.

 

 

[1750년 海東地圖 홍천]

 

1750년대 제작된 128장 2축2장으로 구성된 지도책으로 조선전도, 8도 도별도, 전국 330여 군현지도, 관방지도뿐만 아니라 세계지도인 천하도(天下圖), 중국의 십상성도(十三省圖)·북경궁궐도(北京宮闕圖)·황성도(皇城圖), 왜국지도(倭國地圖), 유구국도(琉球國圖) 등이 망라되어 군현지도집인 해동지도(海東地圖)에는 용수사를 용수암으로 표기하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너브내 역사·문화 이야기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
광고